본문 바로가기

Weekly, we click!

4월 3주차 Weekly We click! '교육'

Weekly We Click

위클리 위클릭은 트렌드인사이트에서 매주 발행하는 포스팅으로, 트렌드인사이트의 집필진들이 클릭한 주간의 주목받을만하고 괜찮은 트렌드 관련 기사나 블로그 포스팅들을 모아 가려내어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교육의 중요성은 수백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SNS등이 발달하고 스마트폰이 활성화 되면서 배우고자 하는 의지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도 다양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또한 아이패드 출시가 눈 앞으로 다가오면서 그에 걸맞는 수많은 어플이 개발중이며 전자책 시장도 큰 호황을 누리리라 생각됩니다.




미래의 교육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소셜 교육
http://health20.kr/1536

소셜 웹서비스의 발달에 따른 미래의 이러닝의 진화에 대한 글로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 서비스 발달과 미래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미국 대학의 PR교육 트렌드
http://blog.naver.com/wiseberg?Redirect=Log&logNo=10084086492

신문사나 방송국에서 대학을 졸업하는 신입기자들에게 요구하는 자격요건들이 변화하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 트렌드 분석
http://yemundang.tistory.com/145

우리나라 교육은 어떻게 돌아가고 있을까? 우리나라 교육 시장의 트렌드를 분석해 놓은 글.







아이패드 나라의 앨리스
http://unitas.tistory.com/191

아이패드 전자책은 단순한 전자책이 아니다. 책을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책의 상상력을 도와주며 경험시켜주며 극대화 시켜주는 혁신적인 '전자책'이다.






2040 세대별 외국어교육 스마트폰 어플로 '해결'
http://www.zdnet.co.kr/ArticleView.asp?artice_id=20100413154305

스마트폰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스마트폰의 외국어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연령/세대별로 인기 애플리케이션을 살펴볼 수 있다.







공교육시스템의 표준, 캐나다 온타리오http://news.joins.com/article/aid/2010/04/23/3700790.html?cloc=olink|article|default

사교육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한국과 비교해 공교육 시스템이 발전해야할 방향과 차이점에 대해서 캐나다 온타리오와 비교해 본다.






IPTV로 건강과 교육 해결한다!http://www.ytn.co.kr/_ln/0105_201004240340106370

양방향 서비스를 바탕으로하는 IPTV를 통해 가정에서 가정과 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법이 등장했다. 앞으로 집에서 리모컨을 통해 원하는 정보에 쉽게 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EBS 3D다큐,입시정보 프로 강화!
http://service.seoul.co.kr/news/newsView.php?id=20100217023007&spage=1

EBS는 지난 22일 2010년 봄 프로그램 편성을 단행하며, 창의,3D,인재 대국 등의 3가지 키워드에 주목하였다.






영유아 교육사업 '젤리빈' 교육사업 트렌드 중심에 선다
http://newswave.kr/sub_read.html?uid=91056&section=sc4

대한민국의 교육열은 전세계 최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어교육과 감성놀이를 접목한 교육 프랜차이즈 '젤리빈'을 만나 볼 수 있다.






개방형 교육의 2.0 시대는 어떤 모습일까?
http://health20.kr/1566

MIT 오픈스퀘어 교육방식의 미국확산화와 이에 따른 미래의 개방형 교육을 예측한 글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