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ersonal trend

세컨드 하우스 '멀티해비테이션'


자연으로 태어나 자연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다.  사람들은 그래서 귀농을 하지만 아예 귀농을 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많다.이제 태어나서 자라게 될 아이들의 교육문제나. 도시에서와 같은 문화생활을 포기해야 할 지도 모른다. 이 같은 단점을 보완해줄 새로운 주거트랜드가 뜨고있다.

  

 

 

경기도 시흥시에 사는 정원근(55·교사)씨는 매주 금요일 저녁이면 부인과 함께 강원도 원주에 있는 전원주택으로 향한다.주말에 이용하기 위해 올 상반기 장만한 33㎡의 소형 주택이다.여기에 1억 원이 채안되는 돈을 들였다. 정씨는 “밭 작물을 가꾸는 재미와 함께 건강도 얻을 수 있다”며 “은퇴하면 정착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씨처럼 수도권 인근에 작은 전원주택을 마련해 ‘두 집 살림’을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멀티해비테이션

 

도시와 농촌 등 서로 다른 지역에 각각 집을 마련해 양쪽에 모두 거주하는 주거 트렌드를 말한다.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교통 여건이 좋아진 가운데 주5일 근무제 정착과 웰빙 추구 심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겨난 현상이다.

 

일본에서는 80년대 이후 산업화에 찌든 도시인들이 농촌에 하나 둘 별장형 주택을 마련하기 시작하면서 두 집 살림이 본격화됐다. 2005년 3월 일본의 국토교통성 산하 ‘2지역거주인구연구회’가 설문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일본 30~59세의 절반 이상이 멀티해비테이션을 이루겠다고 응답했다. 특히 50대는 59.4%가 ‘당장’ 혹은 ‘가까운 장래’에 실행에 옮기겠다고 했다. 피데스피엠피 김철수 사장은 “베이비 부머가 본격적으로 은퇴하기 시작하면 우리나라도 일본처럼 두 집 살림을 하는 멀티해비테이션이 빠르게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선진국에서 보편화돼 있는 멀티해비테이션(Multi-Habitation)이 한국에서도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진단한다. 주택산업연구원 김덕례 연구위원은 소득증가,주5일 근무제 정착,도로여건 개선 등에 따라 도시 중산층 사이에서 멀티해비테이션 현상이 본격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1억~1억 5000만원, 도심에서 1시간 30분거리 인기.

 

 

 

 그림같은 전원 주택형!

 


먼저 직장이 있는 도시에 살면서 한적한 시골에 세컨드 하우스를 마련해 주말에 레저 및 휴식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런 주택은 보통 대지 3백30~6백60㎡(약 99~ 1백99평)에 건물은 66㎡(약 19평) 안팎의 소형 주택이며 분양가가 1억원대로 비교적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대개 고속도로 주변, 서울에서 90분 이내 거리에 있는 경기도 양평, 가평, 강화 근처나 강원 춘천 등에 많이 몰려 있다. 향후, 원주-강릉 간 복선화 전철이 완공되면 청량리에서 강릉까지 1시간 40분대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멀티해비테이션 대상 지역의 범위는 점점 확대될 전망이다.

 

 

 


 
레져형아파트!

 

 주택 양식 또한 단순히 그림같이 예쁜 ‘전원주택’이 아닌 ‘레저형 아파트’로 확장되고 있다. 레저형 아파트는 해수욕장이나 국립공원, 관광지 주변에 있어 콘도나 펜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주거용 아파트로 주5일 근무제가 정착되면서 그 수요가 늘고 있다.







 

 

 

 

반대로 전원주택에 주로 살면서 가끔 도심에 있는 집을 오가는 경우도 멀티해비테이션의 한 유형이다. 은퇴 후, 노후생활을 전원에서 즐기는 이들이 여기에 속하는데, 동창회나 결혼식 등의 볼일이 있을 때만 잠깐씩 도심에 있는 세컨드 하우스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다.

 수요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경제력을 갖춘 베이비 부머(1955~1963년생)들의 은퇴가 본격화하면 전원형 주택을 찾는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주택개발업체인 피데스개발 김승배 사장은 “도심 개발이 갈수록 고밀화하면서 농촌에 또 다른 집을 두고 이용하는 멀티해비테이션이 대중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멀티해비테이션 현상이 생겨남에 따라서 전원주택도 브랜드화 되어가고 있다.

 

 

 

 SK D&D,‘스카이홈’ 첫선

 

 

 힐스테이트, 래미안, 푸르지오, 자이, e편한세상….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아파트 브랜드다. 이제는 그냥 아파트가 아니라 “○○○에 산다”고 말할 정도로 10여년의 역사를 지닌 아파트 브랜드는 고유명사를 넘어 보통명사로 자리잡고 있다.

 이렇듯 만개한 아파트 브랜드 시대가 단독주택시장에도 서서히 열리고 있다. 종전에는 고작 집주인의 문패나 지번 정도가 단독주택의 대표성을 나타냈지만, 최근들어 단독주택에도 ‘이름’이 붙기 시작한 것. 그 대표적인 사례가 SK건설의 자회사인 SKD&D가 첫선을 선보인 ‘스카이홈’이다. SKD&D는 지난해 12월 단독주택 브랜드 ‘스카이홈’ 런칭 설명회를 갖고 본격 마케팅에 들어갔다. 이 회사는 그랜드 모듈러 공법을 도입해 자동차 찍어내듯 단독주택을 생산한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이미 10여채 정도 계약이 이뤄졌고 충북 충주 인등산에 있는 SK연수원에도 스카이홈을 공급했다.

 사실 그동안 단독주택 시장은 영세한 개인사업자나 전원주택을 짓는 중소업체에서 공급을 주도해 왔다. 일부 전원주택업체가 이따금 단지별로 브랜드를 내놓기도 했지만 인지도가 떨어져 브랜드 대중화엔 실패했다. 이런 와중에 대형건설업체인 SK건설사의 자회사에서 단독주택 브랜드를 내놓음에 따라 향후 단독주택 브랜드 경쟁이 가열될 전망이다.

 

 

 

 

 

 

세컨드 하우스를 장만하기 전 체크할 점

 

 별장용이 아닌 실제로 주거할 전원주택을 장만하더면 꼼꼼히 따져볼 것이 많다.

 

위치가 중요하다. 도심권에서 2시간 이상 떨어진 곳은 아무리 자연경관이 좋다 하더라도 일단 오고 가는게 부담스럽다.   또 나중에 집을 처분할 때 금방 팔리지 않을 위험도 있다. 이밖에도 위치를 정할 때도 주변환경을 체크하는것좋다. 주변에 병원,마트 등의 편의 시설이 멀진 않더라도 가까이 있어야만 생활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이다.

 

세금도 체크 대상이다. 1가구 2주택이 되면 양도세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수도권 이외의 읍,면 단위에 있는 주택 중 대지면적과 주택 면적이 각각 660㎡, 150㎡ 이하이면서 취득시 공시 가격이 1억 5000만원 이하라면 양도 소득세 산정 때 주택 수에 포함되지 않는다. 단, 수도권과 광역시 이외 읍,면 지역이라 해도 토지 거래 허가 구역, 토지 투기지역등에서는 양도세가 중과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멀티해비태이션의 미래는?

 

 

 

 

멀티해비테이션은 좀 더 이동이 용이하게 변할것이다. 디지털 첨단기술을 이용해 자유로이 이동하며 일을 하는 사람들인 '디지털 노마드족'이 있는가 하면 선호에 따라 주거공간을 옮겨가는'주거공간 노마드족'이 출현할 것이다.
 내가 있는 곳이 집이고, 어디를 가든 그곳은 내 집이 되는 것이다. 세컨드하우스의 계념에서 보다 자유로운 주거트랜드가 될 것이다.도심과 전원생활을 함께 즐기는 멀티 해비테이션이 도심과 전원을 오가는 수준을 넘어 도시와 도시 간 또는 해외의 유명 관광지로 진화·발전되고 이동식 캠핑카, 요트, 플로팅하우스(수상가옥)도 보편화된다.

 

 

 보통 멀티해비테이션의 주 대상자는 은퇴후 노후를 생각하는 실버세대이다. 누로 노년층이 대상인 만큼 멀티해비테이션은 실버산업과 연계될 수 있는 여러 방안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노인들을 위한 간편하고 집안에서도 편리하게 즐길 수 있는 IT산업이나, 주변 환경의 여러가지 노인복지 시설, 그리고 멀티해비테이션과 실버타운이 복합된 새로운 복합 주거단지를 생각해볼 수 있겠다. 

 멀티해비테이션이란 현상으로 인해서 여러가지 사회변화를 생각해 본다면, 고밀화 된 도시에서의 해방을 꿈꾸는 회귀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의 증가일 것이다. 그만큼 우리나라 경제와 사회면으로 볼 때 문화적 그리고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긴것이다. 그 만큼 단지 한국인들은 그동안 사회의 주안이였던 경제발전적인 면에서 벗어나 문화적 감성과 자신을 한번 쯤 뒤돌아 볼줄 아는 여유가 생겼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도시이외의 소외받던 농가의 활성화도 기대해 볼 수 있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