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ocial trend

온라인 미디어 속 아마추어 스토리텔러들


현재 소셜 미디어에 관한 관심은 최고조에 달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모바일과 이들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은 현실에서 사람들이 모여 컨텐츠를 생산하고 공유하는 것을 훨씬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만들어 주고 있습니다.


21세기 미디어의 명확한 특징들 가운데 하나인 아마추어의 출현으로부터 기인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가 있습니다. 이미 한창 진행 중이면서 시간이 갈수록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몇몇 변화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서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살고 있는 아마추어에 대한 몇 가지를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1. 기타를 치는 한국의 한 젊은 남자

너무나도 유명한 사례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럴싸한 카메라 연출도 없고 조명또한 매우 취약합니다. 자신의 방에 앉아서 얼굴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모자를 푹 눌러 쓰고 있습니다. 그는 이 비디오를 촬영하여 대표적인 소셜 미디어인 유튜브에 업로드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이 영상은 전 세계 1억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인 한 명이 그의 방안에 가만히 앉아서 미디어 컨텐츠 한 편을 통해 대한민국 인구 2배에 이르는 관객을 창출 한 것입니다. 이것은 아마추어도 전문가들과 동일한 환경에서 미디어를 연출해 내게 됐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단지 미디어의 본질 자체가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한국 방송 프로그램 업로드, 모라하나

온라인에는 한국 방송 프로그램을 클립하여 업로드하는 몇 군데의 사이트가 있습니다. 이 영상을 시청하는 사람들은 한국인만이 아니고 한국이민자 커뮤니티를 모으는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이 영상을 본 사람들은 국제적인 수준에서 또 다른 사람들에게 컨텐츠를 전달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여기서 미디어는 단지 개인의 소비가 아닌 커뮤니티를 소집하게 하는 수준으로 활용되는 것입니다. '모라하나'라는 아이디의 한 유저는 정기적으로 한국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부터의 비디오 클립을 업로드해 왔습니다. 그러던 그가 한국 인터넷 사이트에서 비디오를 업로드해서는 안 된다는 구글의 한국 지사 정책으로 인해 이를 멈추게 되었습니다. 평소 그의 비디오를 즐겨 보던 사람들, 특히 한국 이민자 커뮤니티에서는 반대 운동이 거세게 일어났습니다. 그러다가 짐바브웨에 가게 된 모라하나는 지금 한국이 아닌 곳에 있다는 점이 구글의 서비스 제한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이라고 생각했고, 다시 영상들은 업로드되기 시작했습니다. 사람들은 협력과 논의를 통해 모라하나가 구글의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도왔습니다. 사람들은 분리된 개개인의 집합이 아니라 하나의 집단으로서의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3. 미국산 소고기 촛불집회, 동방신기 팬클럽

미국산 소고기 광우병 파동에 대해 발생한 촛불 집회는 누가 어떻게 그 많은 사람들을 모았을까요? 실제 사람들을 거리로 모이도록 돕는 조직이 있는데 놀랍게도 그중에는 80만명의 소녀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동방신기 팬클럽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정치적 의식이 성숙하기도 전에 동방신기때문에, 혹은 동방신기 커뮤니티의 분위기 때문에 길거리로 나와 촛불을 들었다는 것입니다. 한 가수의 팬클럽이라는 본연의 목적을 넘어 정치적인 일에 참여할 정도로 커뮤니티의 경계도 모호해지고 있습니다.

 



1. 기타리스트 - 아마추어들은 이제 소비하는 것뿐만 아니라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됐다.
2. 모라하나 - 미디어는 이제 단지 개인의 소비만을 위한 것이 아닌 집단의 협력을 위한 도구다.
3. 동방신기 팬클럽 - 이제 카테고리 사이의 경계가 점점 더 흐려지고 있다.


이 같은 사건들은 어떤 미디어 환경을 의미하고 있을까요? 과거 미디어 기업들에 의해 제공되었던 컨텐츠들이 이제는 개개인들과 함께 소통하며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비로소 이룩하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제 개인들은 미디어 기업에 자신의 의견을 말하며 이는 실제로 유용한 가치를 가집니다. 유튜브 기타리스트는 컨텐츠의 엄청난 영향력과 확장력을 보여주었고, 모라하나 사건에서는 하나로 뭉쳐 미디어 기업에 반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마지막 팬클럽 사건은 경계성의 모호함과 단합심을 보여주었습니다. 낮은 비용과 네트워크가 개인에게 선사한 자유가 바로 이런 변화를 발생시킨 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미디어를 통한 개개인의 파워? 는 더욱 강력해질 것입니다. 특히 스마트폰, 트위터와 같은 기기와 매체들이 정점에 달했을 때 그 파워는 상상할 수 없을 것입니다. 개인주의 사회의 풍토가 만연한 현 시대에 이러한 컨텐츠를 통해 집단주의가 조금이나마 실현될 수 있으면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만 그만큼 책임도 뒤따릅니다. 앞으로의 아마추어 스토리텔러들은 어떠한 형태로 등장하게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