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trend
요트 - 당신의 아름다운 여가를 위한 선택
알 수 없는 사용자
2010. 3. 6. 09:20
드라마, 영화, 뮤직비디오 에서의 프로포즈 장면에서 꼭 빠지지 않는 장소가 있는데요, 바로 바다 한가운데 떠 있는 배안에서의 로맨틱하게 반지를 건네는 모습입니다. 재벌2세나 갑부집 자제 정도는 되야 할 수 있는 럭셔리 여가라고 생각했던 이 요트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습니다.
2010 삼성경제연구소에서 발표한 국내 10대 트렌드에서는 여가의 고급화와 친환경 을 트렌드로 제시하였는데요 . 베이비붐세대의 은퇴와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여가산업의 중요도가 국가차원이나 기업차원에서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요트산업은 3면이 바다로 둘러쌓은 우리나라의 여건과 세계제일의 조선기술, IT 기술을 가진 우리나라에 딱 맞는 사업임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널리 활성화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트산업의 고부가가치를 인식하고 현재 정부차원에서 요트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2010 삼성경제연구소에서 발표한 국내 10대 트렌드에서는 여가의 고급화와 친환경 을 트렌드로 제시하였는데요 . 베이비붐세대의 은퇴와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여가산업의 중요도가 국가차원이나 기업차원에서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요트산업은 3면이 바다로 둘러쌓은 우리나라의 여건과 세계제일의 조선기술, IT 기술을 가진 우리나라에 딱 맞는 사업임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널리 활성화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요트산업의 고부가가치를 인식하고 현재 정부차원에서 요트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 전국 마리나항 개발 계획 )
위에 사진에서 보듯이 지금 해안을 끼고 있는 각 지자체 별로 마리나 항만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경기도의 전곡항, 전라남도의 목포, 그리고 부산 등등 꽤 큰 규모의 마리나 항만에 대한 개발 계획이 수립, 실행되고 있습니다. 아마도 10년 후면 우리나라 3면의 바다에서 요트를 타고 즐기는 사람들이 쉽게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요트나 레저용 보트의 정박시설과 계류장, 해안의 산책길, 상점 식당가 및 숙박시설등을 갖춘 항구를 말한다. 선진국 사이에서 마리나항의 운영실태는 고급 해양레포츠의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가 되고 있으며, 최근 한국에서도 마리나항 건설,운용이 확산 추세를 보이고 있다.
마리나항(marina 港)은
요트나 레저용 보트의 정박시설과 계류장, 해안의 산책길, 상점 식당가 및 숙박시설등을 갖춘 항구를 말한다. 선진국 사이에서 마리나항의 운영실태는 고급 해양레포츠의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가 되고 있으며, 최근 한국에서도 마리나항 건설,운용이 확산 추세를 보이고 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
해외에서 보더라도 요트산업은 요트건조와 함께 요트대회등으로 경제적 파급효과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요. 실제로 150년 전통의 아메리카컵과 같은 국제적 스포츠 행사의 경우 고객의 유치나 사업 성장 측면에서 선박업계의 매우 중요한 행사인데, 이를 개최한 뉴질랜드 오클랜드는 4억7천만달러에 이르는 경제적 수익을 거두고 세계적인 해양관광명소로 급부상하는 등의 국가의 관광수익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요트산업에 좋은 여건을 가지고 있는 우리도 요트산업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해야겠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의 요트에 대한 인식은 재벌같이 돈이 많고 여유가 흘러넘치는 사람들이 하는것, 요트위에서 진탕 술을 먹고 추태를 부리는 등의 안좋은 인식이 깔려 있지만, 실제로 요트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바다를 사랑하고 조용하게 자신의 여가를 즐기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저라도 멋있는 요트가 있다면 친구들과 바다위에서 파티를 하고 싶겠지만요 ~)
요트인들의 특성
40~50대 이상의 여유있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고, 친환경적이며, 가족적, 바다를 좋아하며 여가를 즐기는 사람들의 전형적인 공통 특성을 가지고 있다.
요트? 특권층만의 문화인가 ? " 요트문화는 변화하고 있다. "
(출처 : http://kisilee.tistory.com/688)
대한민국의 평범한 사람들에게 요트는 대게 낯설고, 돈좀있는 특권층의 여가문화라고 보는것이 보통일 것입니다. 하지만 일본,독일의 경우보더라도 개인소득 2만달러 전후로 시장이 열리기 시작했고 그 이후로 요트 문화가 대중화되어 여름 휴가중 요트에서 여가를 즐기는 것은 흔히 볼 수 있는 광경이 되었습니다. 이렇듯 특권층의 문화가 점점 대중화가 되어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요트의 가격으로 봐서 개인이 소유하기는 어렵겠습니다만 마리나항이 전국적으로 건설되는 2015년 이후에는 " 주말을 어떻게 보내십니까? " 라는 질문에 요트를 타러 바다에 간다는 사람들이 많이 나타날것입니다.
요트는 어떻게 이용할 수 있을까 ?
우선, 개인이 이용 할 수 있는 요트에는 파워보트와 세일링 보트가 있는데요 파워보트는 바다위에서 쌩쌩 달리는 파워모터가 달린 요트를 말하고, 세일링 보트는 닻과 바람을 이용하는 보트입니다. 세일링 보트의 경우는 여유로움과 가족과의 편안함을 추구하는 사람에게 추천할 만하고 파워보트의 경우는 스피드를 즐기고 모험적인 사람들에게 흔히 놀이공원에서의 롤러코스터를 좋아하는 사람에게 추천할 만합니다. 각 개인의 취향과 각 보트의 특성을 고려해 보트를 선택한 후 구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부담이 된다면 동호회의 가입이나 렌탈을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요트 이용에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 블로그 (http://ggholic.tistory.com/64?srchid=BR1http%3A%2F%2Fggholic.tistory.com%2F64)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가문화의 대세는 요트다 !!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와 친환경 적인 여행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고급의 친환경적인 여가문화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요트 산업은 발전은 여러산업과의 동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 보듯이 요트산업의 성장은 요트제작의 부품부터 서비스 산업까지 여러산업을 동반 성장 시킨다는것이 큰 의의가 있습니다. 또한 요트산업의 발달은 관광에 대한 새로운 트렌드를 몰고 올것이며, 다른 산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고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다수를 이루고 있습니다. 단순히 자신의 배를 타고 바다를 여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산업에도 요트와 관련된 트렌드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겠죠 .. 예를 몇가지 들어 보았습니다.
1. 요트와 IT 와 의 결합
(출처 : 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LeisureLife/)
이번 MWC 2010 에서 SKT 가 선보인 휴대폰을 가지고 자동차를 작동 시키는 자동차 원격제어기술을 선보였는데요 이와 비슷하게 요트와 관련된 모바일 프로그램이나, 기술이 생겨나지 않을까요 ? 물론 먼 미래의 일 일수 있겠으나 요트의 인구가 증가하고 인프라가 구축이 된다면 IT 와 요트의 결합은 당연한 수순일 것입니다.
2. 관광산업의 변화
우리나라의 마리나 항이 몇년뒤에 개항을 하고 요트산업이 발달하게 되면 마리나항, 요트를 잇는 복합적인 관광패키지가 많이 생겨나고 저가형부터 고가형의 관광패키지가 더욱더 발달 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제주의 경우 요트투어를 통해 바다위에서 배를 타고 낚시도 하고 요트내의 여러서비스 (침실, 낚시, 파티등) 를 이용할 수 있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런 관광패키지 산업이 발달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실제로 위의 펀코스트라는 사이트는 요트를 렌트해주고 각종 이벤트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3시간 기준 개인당 13만원(저가)정도로 요트를 이용할 수 있는데요 요트는 재벌들이나 타는 것이라는 인식이 점점 바뀌고 있다는 점에서 위와 같은 렌탈서비스나, 이벤트, 선상파티를 포함하는 여러 관광패키지들이 나타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3. 이벤트 문화 성장 - 파티문화의 확산
관광산업과 더불어 요트위에서 즐기는 파티문화가 확산되지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았느데요 누구나 한번쯤은 넒은 바다위에 떠있는 바다위에서 영화 타이타닉의 한 장면을 따라해 보거나 사랑하는 사람드의 프로포즈, 즐겁게 춤과 음주를 즐기는 파티를 즐기는 자신을 상상할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의 파티문화가 정착이 되지 않았지만, 서울의 홍대클럽이라든지 패션피플들의 파티 등을 TV를 통해 보곤 하는데요 이런 파티문화가 요트산업이 발달하고 요트문화가 확산이 되면 자연스럽게 요트위에서의 파티를 즐기는 사람들을 위해 변화하지 않을까요 ? 상류층의 소위 부자들에게만 익숙했던 이런 문화가 대중화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4. 금융 / 보험 산업의 발달
요트 한대당 가격은 수천만원에서 수억원까지 개인이 소유하기에는 비싼 가격이지만 저가형 요트도 많이 제작되고 있어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요트에 대한 보험이나 금융의 부분이 발달하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지금의 우리나라에 있는 모든 선박은 선박보험에 들어 있습니다. 저가형 보험패키지나 요트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보험상품의 탄생은 요트산업의 증가한 후의 수순이 아닐까요 ?
5. 마린룩의 발전
등산을 갈때는 등산복, 운동을 할땐 운동복, 배를 탈때 입워줘여 한다는 마린룩, 마린룩의 열풍은 지난해 아이돌 걸그룹인 소녀시대를 통해 더욱더 대중화가 되었는데요 패셔니스트들이 즐겨입는다는 마린룩이 이 요트산업에 더욱더 힘을 싣어 주지 않을까요 ? 주말에 요트를 즐기고 그에 따른 패션을 함께 즐기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1. 요트와 IT 와 의 결합
이번 MWC 2010 에서 SKT 가 선보인 휴대폰을 가지고 자동차를 작동 시키는 자동차 원격제어기술을 선보였는데요 이와 비슷하게 요트와 관련된 모바일 프로그램이나, 기술이 생겨나지 않을까요 ? 물론 먼 미래의 일 일수 있겠으나 요트의 인구가 증가하고 인프라가 구축이 된다면 IT 와 요트의 결합은 당연한 수순일 것입니다.
2. 관광산업의 변화
우리나라의 마리나 항이 몇년뒤에 개항을 하고 요트산업이 발달하게 되면 마리나항, 요트를 잇는 복합적인 관광패키지가 많이 생겨나고 저가형부터 고가형의 관광패키지가 더욱더 발달 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제주의 경우 요트투어를 통해 바다위에서 배를 타고 낚시도 하고 요트내의 여러서비스 (침실, 낚시, 파티등) 를 이용할 수 있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런 관광패키지 산업이 발달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실제로 위의 펀코스트라는 사이트는 요트를 렌트해주고 각종 이벤트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3시간 기준 개인당 13만원(저가)정도로 요트를 이용할 수 있는데요 요트는 재벌들이나 타는 것이라는 인식이 점점 바뀌고 있다는 점에서 위와 같은 렌탈서비스나, 이벤트, 선상파티를 포함하는 여러 관광패키지들이 나타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3. 이벤트 문화 성장 - 파티문화의 확산
4. 금융 / 보험 산업의 발달
요트 한대당 가격은 수천만원에서 수억원까지 개인이 소유하기에는 비싼 가격이지만 저가형 요트도 많이 제작되고 있어 향후 우리나라에서의 요트에 대한 보험이나 금융의 부분이 발달하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지금의 우리나라에 있는 모든 선박은 선박보험에 들어 있습니다. 저가형 보험패키지나 요트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보험상품의 탄생은 요트산업의 증가한 후의 수순이 아닐까요 ?
5. 마린룩의 발전
등산을 갈때는 등산복, 운동을 할땐 운동복, 배를 탈때 입워줘여 한다는 마린룩, 마린룩의 열풍은 지난해 아이돌 걸그룹인 소녀시대를 통해 더욱더 대중화가 되었는데요 패셔니스트들이 즐겨입는다는 마린룩이 이 요트산업에 더욱더 힘을 싣어 주지 않을까요 ? 주말에 요트를 즐기고 그에 따른 패션을 함께 즐기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바다를 인접한 전국의
지자체들은 앞다투어 자신의 고장을 관광의 메카로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런 추세에 맞춰 마리나항만이 개발되고
우라나라에서의 요트산업이 크게 성장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은데요. 이런 여가문화의 고급화, 친환경화의 추세에 맞춰 발전하게 될 이
요트산업 트렌드를 놓치지 말아야 겠죠 . 이런 트렌드속의 수많은 사업기회를 찾아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