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eting trend

미니멀리즘 마케팅, 잊지 말아야 할 3가지 핵심!

알 수 없는 사용자 2010. 2. 24. 13:52


몇달 전 루저논란이 엄청난 이슈를 가져왔습니다. 'MBC 100분 토론'의 일부 주제가 될 정도로 파급력이 대단하였고, 법적 공방과 마녀사냥 등 수많은 논란을 가져오면서 지금은 제법 잠잠해진 상태입니다. 내용은 다 아시다시피 키가 작은 남성을 비하했다는 내용으로 사건이 터지게 되었는데요. 제가 오늘 쓸 글은 키가 크고 작고, 사건의 잘잘못을 따지려는게 아니라 사람의 문제가 아닌 여러 산업시장에서 루저 즉, 미니멀리즘은 트렌드를 넘어 카테고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드디어 경차택시가 선을 보였습니다. 아직 전국적으로 확대되지는 않았지만 시작이 반이라고 진심으로 성장하길 바랍니다. 택시비도 기본 택시의 70%선이고 연료비 37% 절약, 탄소배출량도 37%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합니다. 미니멀리즘의 한 부분으로 볼 수 있겠죠?


< 경기도에서 시작되는 경차 택시 >


미니멀리즘은 사회 현상에서도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습니다. 심각한 경제 불황속에 조금이라도 아껴보고자 작은 물건을 구입하는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 나홀로족의 증가와 관계가 깊습니다. 이혼율 증가, 고령화, 여성의 지위 향상 등으로 1인 가구가 점차 늘어나면서 이들을 겨냥한 상품이 쏟아져 나오고 관련 마케팅 역시 증가하였습니다. 프라이팬, 냄비 및 식기, 미니 오븐, 1인용 전기밥솥까지 모든것이 작아지고 있습니다.

세탁기도 삼성전자의 '아기사랑 세탁기'는 3KG 용량 세탁기로 기능 역시 최대한 단순화시켜 필요한 기능만 탑재하였습니다.


< 3KG 아기사랑 세탁기 >

신세계 이마트에서는 나홀로족을 위한 '미니미니존'을 오픈했을 정도로 미니멀리즘에 다들 동참하고 있습니다.


< 이마트의 미니미니존 >



미니멀리즘 형태

1. 미니멀리즘 -  작은 것

작은 것의 사례는 상당 수 존재합니다. 2008년 초기부터 불기 시작한 열풍 넷북, 아이리버의 미키마우스 MP3, 1/3의 용량인 미니어처 와인들, 식용유, 참기름 등 작아지고 있습니다. 재미있는 사례로 식용유 0.9L 상품은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매출액 64%가 증가하였으나, 1.8L의 상품은 21%가 감소하였습니다. 참기름 역시 320ml는 30% 증가했지만 900ml는 25% 감소했고, 마요네즈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적어도 먹는 음식을 구입함에 있어서 작은 고추가 맵다는 것을 증명하였네요.

2. 미니멀리즘 - 얇은 것

역시 IT산업과 가장 관련 깊다고 할 수 있습니다. 벽걸이TV, 모니터, 노트북 등 각종 전자기기들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제 IT상품에서 얇다는 것은 기업경쟁력이 부분 앞서 경쟁우위로 표현되기까지 합니다. 현재 세계시장을 점령한 애플사의 맥북에어가 브랜드도 브랜드지만 얇은것은 경쟁사보다 큰 장점이였습니다.

3. 미니멀리즘 - 가벼운 것

가벼운 것도 주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두드러지는것은 자전거 입니다. 친구의 100만원이 훨씬 넘어가는 최고급 자전거는 한 손으로 들 수 있을정도로 가벼웠습니다. 오르막길도 제법 쉽게 올라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자전거들은 두손으로 들기에도 제법 무리가 있으며 오르막길은 내려서 그냥 끌고 올라가야죠.


< 아이리버의 미키마우스 MP 3 >


< 애플사의 가장 얇은 노트북 맥북에어 >



< 4.48kg 초경량 바이크 '파시나리오 0.7' >



미니멀리즘의 가장 큰 미학은 단순화입니다. 단순화는 소비자에게 자극을 일으키고 그에따른 관심을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무분별하게 미니멀리즘화 되어 출시되는 신제품 중 상당 수가 명함도 못내밀고 말 그대로 작아지고 말았습니다. 단순화 된 상품과 잘 접목된 마케팅도 중요하게 보여지지만 정작 중요한건 급변하는 사회 환경과 주변 상황에 따라 변화와 진화를 거듭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미니멀리즘의 핵심 3가지를 제안합니다.

미니멀리즘은 단순히 크기와 기능, 양을 줄이는 것이 아닙니다. 어떠한 미니멀리즘이 진정한 의미로 다가올까요?

미니멀리즘 3가지 핵심

1. 본질은 단순화지만 그 안에서도 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2. 소비자로 하여금 지속적인 수요가 발생되어야 한다

3. 경쟁 상황에서 경쟁사보다 더 큰 소구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