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trend
대한민국 청소년은 "욕쟁이" ? 부정적 트렌드를 바로잡자.
알 수 없는 사용자
2010. 12. 1. 19:40
" 욕하는 아이들
고운말 쓰면 왕따 당한다구요! "
대한민국의 미래인 청소년들의 언어습관이 갈수록 험해지고 있다. 무엇보다 큰 문제점은 청소년 자신이 쓰는 말에 대한 윤리적인 의식을 하지 못하고 사용하고 있고, 기성세대와는 달리 욕을 그들만의 소통과 하나의 그룹문화로 만들고 있다는 점도 큰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은 동방예의지국이라는 말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위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언어습관에 대한 통계로 충격스런 결과를 보여준다. 96%의 초등학생이 욕을 사용한다는 점, 무엇보다 욕의 뜻을 모르고 사용한다는 점이다. 문제는 청소년들 사이에서는 이런 욕하는 언어습관이 하나의 부정적 트렌드를 형성하고 계속 커지고 있고 이것이 저학년까지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런 부정적인 트렌드가 그들만의 세대, 또래 문화로서 굳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다음은 기사의 발췌 부분이다.
◇ 비속어 판치는 청소년 대화
청소년들의 대화속 비속어 사용은 어제 오늘일이 아니다. 교사들도 학생들 대화에서 욕설과 비속어, 인터넷 은어 사용이 심각하다고 느끼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가 한글날을 앞두고 지난 7일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교 교원 455명을 대상으로 학생 언어사용 실태에 대한 인식조사를 한 결과에서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2.7%는 '학생 대화에서 욕설과 비속어 비율이 20∼50%는 된다'고 답했다. '비속어 등 비율이 50∼70%'라는 응답도 22.4%나 됐다. '20% 이내' 라는 답변은 16.4%에 그쳤다.
교사들은 '조사(助詞)를 빼면 대화의 반 이상이 욕설과 비속어, 은어로 이뤄져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66.1%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56.4%는 '학생들이 욕설, 비속어, 은어를 쓰는 것을 거의 매일 본다'고 전했다.
청소년들의 대화속 비속어 사용은 어제 오늘일이 아니다. 교사들도 학생들 대화에서 욕설과 비속어, 인터넷 은어 사용이 심각하다고 느끼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한국교총)가 한글날을 앞두고 지난 7일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교 교원 455명을 대상으로 학생 언어사용 실태에 대한 인식조사를 한 결과에서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2.7%는 '학생 대화에서 욕설과 비속어 비율이 20∼50%는 된다'고 답했다. '비속어 등 비율이 50∼70%'라는 응답도 22.4%나 됐다. '20% 이내' 라는 답변은 16.4%에 그쳤다.
교사들은 '조사(助詞)를 빼면 대화의 반 이상이 욕설과 비속어, 은어로 이뤄져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66.1%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56.4%는 '학생들이 욕설, 비속어, 은어를 쓰는 것을 거의 매일 본다'고 전했다.
욕하는 청소년 그 원인은 ?
1. 인터넷문화의 폐헤 2. 개인주의의 부정적 확산 3. 입시위주의 교육제도
위 기사에서 살펴보았듯이 청소년의 잘못된 언어습관은 인터넷의 영향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청소년들이 언제 어디서든 쉽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보니 유해 언어의 사용에 둔감해진다는 것이다. 특히 익명성이라는 인터넷의 특징은 청소년들을 더욱 욕설 문화로 빠져들게 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인터넷 공간에서는 타인에게 욕을 해도 내가 누구인지 모른다는 점 때문이다. 10대 청소년들이 즐기는 온라인 게임과 인터넷은 오염 수위가 높은 욕설을 실시간으로 재생산하고 있다. 또한 빠르게 핵가족화가 진행되면서 전통적인 가정에서보다 언어 습관에 대해 둔감해지는 현상도 하나의 이유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의 청소년의 교육을 담당해야할 대한민국의 교육제도 또한 입시위주의 교육제도로 충분한 인성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기 때문에 청소년의 유해언어 사용을 막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기업이 되라.
청소년들의 욕하는 문화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청소년들 스스로가 정확한 뜻도 모르고 사용하는 욕이라는 언어습관에서 부정적트렌드를 만들어 내고 이를 하나의 집단문화, 또래 문화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청소년들에게 유해 언어에 대해 부정적인 부분을 인식시키고 긍정적인 트렌드를 확산시킴으로써 부정적 트렌드를 없애고 긍정적인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 내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기업의 역할이 필요하다.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긍정적인 트렌드를 만들어 내는 것이 앞으로 기업의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다. 욕하는 청소년들이 늘고 있다는 점, 그것의 가장 큰 원인이 인터넷 문화의 폐해와 메마른 교육제도라는 점에서 기업과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1. 바이럴 마케팅을 활용하라.
- 캠페인 , 공익광고 학교차원의 교육 등 바른말에 대한 트렌드 붐을 일으켜야 한다.
바이럴 마케팅은 보통 홍보의 목적으로 기업에서 재미있는 영상을 만들어 소비자 스스로가 붐을 일으켜 홍보를 하는 마케팅 방법이다. 국가차원, 기업차원의 캠페인과 공익광고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부정적 트렌드를 인식하게되고 해결책을 찾게끔 유도 할 수 있는 방법이 하나일 것이다.
2.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기업.
위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청소년 욕 문화의 가장 큰 원인은 인터넷 문화이다. 앞으로의 일상생활의 인터넷 문화가 더욱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하였을때, 비틀어보면 이런 부정적 트렌드의 확산은 기업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기업의 예를 살펴보자
1. 월트디즈니사의 영양성분기준표
미 국의 월트디즈니의 경우를 살펴보면 그들의 주된 고객인 어린이들의 건강문제, 아동비만과 관련된 문제에 접근하여 자사의 캐릭터가 어린이들을 유혹하여 아동비만을 부축인다는 것에 기인하여 건강에 좋은 일련의 영양성분 기준을 만들어 계약업체들에게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비만이라는 전 지구적인 문제에 해결을 위해 한몫을 하고있는것과 동시에 미래의 잠재소비자인 어린이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2.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웨그먼스 푸드마켓 (Wegmans Food markets )
미국의 거대 기업인 월마트를 위협하고 있는 웨그먼스 슈퍼체인은 훌륭한 식생활, 훌륭한 삶이라는 모토로 소비자의 건강을 위해서 균형잡힌 영양 섭취가 무엇보닫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장려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가정식 대체식품이라는 개념을 도입해 건강한 삶에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는 현대인들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는 점이다 이런 활동은 웨그먼스를 포츈이 선정한 100대 기업으로 만들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 캠페인 , 공익광고 학교차원의 교육 등 바른말에 대한 트렌드 붐을 일으켜야 한다.
바이럴 마케팅은 보통 홍보의 목적으로 기업에서 재미있는 영상을 만들어 소비자 스스로가 붐을 일으켜 홍보를 하는 마케팅 방법이다. 국가차원, 기업차원의 캠페인과 공익광고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부정적 트렌드를 인식하게되고 해결책을 찾게끔 유도 할 수 있는 방법이 하나일 것이다.
< 비만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공익광고 >
2.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기업.
위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청소년 욕 문화의 가장 큰 원인은 인터넷 문화이다. 앞으로의 일상생활의 인터넷 문화가 더욱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하였을때, 비틀어보면 이런 부정적 트렌드의 확산은 기업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기업의 예를 살펴보자
1. 월트디즈니사의 영양성분기준표
미 국의 월트디즈니의 경우를 살펴보면 그들의 주된 고객인 어린이들의 건강문제, 아동비만과 관련된 문제에 접근하여 자사의 캐릭터가 어린이들을 유혹하여 아동비만을 부축인다는 것에 기인하여 건강에 좋은 일련의 영양성분 기준을 만들어 계약업체들에게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비만이라는 전 지구적인 문제에 해결을 위해 한몫을 하고있는것과 동시에 미래의 잠재소비자인 어린이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2.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웨그먼스 푸드마켓 (Wegmans Food markets )
미국의 거대 기업인 월마트를 위협하고 있는 웨그먼스 슈퍼체인은 훌륭한 식생활, 훌륭한 삶이라는 모토로 소비자의 건강을 위해서 균형잡힌 영양 섭취가 무엇보닫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장려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가정식 대체식품이라는 개념을 도입해 건강한 삶에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는 현대인들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는 점이다 이런 활동은 웨그먼스를 포츈이 선정한 100대 기업으로 만들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위의 경우처럼 앞으로 사회적인 문제는 기업이 해결해야할 과제이며 미션이고 목표가 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터넷 기업들이 지금 청소년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업 스스로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사회적인 문제에 대한 기업의 접근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하나로써 그들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증거이기도 하다. 욕하는 청소년들 그들이 우리의 미래라는 점에서 그들의 잘못된 문화를 바로잡고 나아가야 할 사명이 우리나라에 있다는 것이다.
동네에서, 피시방에서 초중등학생이서로 육두문자를 주고 받는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란적이 있다. 자신이 어떤 말을 쓰는지 알지 못하는 듯한 얼굴이였다. 이대로 가다간 동방예의지국은 이제 더이상 우리를 지칭하지 않을 것이다. 청소년들만의 부정적인 언어습관은 또래문화 이제는 사회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기성세대들이 할 수 있는 일은 잘못되었다고 타이르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사회적인 문제들이 많다. 그 중에서도 우리 청소년들의 문제는 가장 큰 관심을 두고 해결 해야하는 것일 것이다. 그리고 그 역할은 가정, 기업, 정부, 그리고 그 구성원인 우리의 몫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