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ulture trend

휴가 트렌드, 2010년에도 '스테이케이션 족'이 대세를 이룰까?


스테이케이션의 확산


2008년 5월부터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한 '스테이케이션'이란 단어는 2008년 기름 파동 이후 휴가 계획을 세우지 않거나 집에서 보내는 경향을 나타내는 신조어이다. 그 후 2009년 한국 주요 휴가트렌드로 확산되었다.
 
2009년 00700 국제전화 서비스 사업자 SK텔링크 여름휴가 계획 조사 결과
 (N=홈페이지 방문자 1612명)

휴가계획이 없거나 집에서 휴가를 보낼 계획  (37%)
국내 여행을 떠나겠다 (34.2%)
호텔 숙박이나 스파 등 '자신만의 휴식을 갖겠다'(14.5%)
해외 여행을 떠나겠다(14.3%)

 주 5일제로 인한 휴가 트렌드의 진화, 경기 침체, 신종 플루 등으로 인해 해외같은 장거리 여행보다 집을 거점으로 하되 주변 공원 산책, 체육시설, 문화시설 이용 등을 하는 방식이 증가하면서 주요 휴가트렌드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휴가 핵심 요소 3R (reflection, refreshment, recreation)를 이루기 위해서 꼭 멀리 나갔다와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벗어난 사람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사진1- 스테이케이션 족은 방콕족과 다르다. 스파,캠핑,전시회 관람, 가족농원처럼 근교에서 즐길거리를 찾는다.>
                                                                                                                    -출처:문화일보,뉴스천지 등

스테이케이션(Staycation) : 경기 침체가 깊어지면서 휴가를 해외로 떠나기보다는 집에 머물러 있다는 뜻에서 머물다(Stay)와 휴가(Vacation)를 결합한 신조어


경제 위기가 낳은 '스테이케이션'

2008년부터 미국의 외식산업은 최저수준에서 머무는 반면에 빵이나 냉동식품의 매출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고가 제품에 대한 구매는 줄어드는 반면에 홈 엔터테인먼트 제품 매출은 작년에 13%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계속된 경제 위기를 통해 화려한 소비패턴을 갖기 보다는 가정 위주의 합리적 소비방식을 보이는 것으로 윤병석 BCG 파트너의 말을 헤럴드 경제에서 전했다.(2009.12.03자 헤럴드 경제 중에서)

                  <사진2- 고가 제품보다 집에서 즐길 수 있는 홈 엔터테인먼트 구매가 늘어나고 있다.>
                                                                          출처- 일본드라마'결혼못하는남자' 후지TV 캡처

'스테이케이션 족'의 발전



                                 <사진 3-청주 산성을 순례하거나 슬로시티(충남 예산)를 찾기도 한다.>
                                                                                                            출처-한국일보,코메디닷컴

             <사진 4- 여성 대상 '슬리밍 프로그램'이나 도심 속 휴가를 내건 1박2일 호텔패키지는 인기상품>
                                                                                                            출처- 헤럴드경제,조선일보

꼭 유명휴양지나 해외를 나갔다와야 꼭 휴가를 잘 보냈다고 생각하던 고정관념에 대해 회의론이 일면서 많은 사람들이 원거리 여행에 대한 낭비를 깨닫고 있다. 이에 휴가를 맞아 도심 속 문화공간, 도심 호텔, 근교 체험장소 등이 새로운 휴가지로 선택되어 지고 있는 것이다.